요즘처럼 가족 구성의 형태가 다양해지고, 관계의 어려움을 겪는 일이 잦아진 시대에 꼭 필요한 전문가가 있어요. 바로 ‘건강가정사’예요! 처음 들어보신 분도 있을 텐데요, 알고 보면 정말 의미 있는 일을 하는 분들이랍니다. 오늘은 ‘건강가정사’가 어떤 자격증인지, 어떤 일을 하는지, 어떻게 하면 될 수 있는지까지 확실하게 풀어드릴게요.
건강가정사란 누구일까요?
건강가정사는 말 그대로 ‘가정을 건강하게 만드는 사람’이에요.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다양한 가족 형태—한부모가족, 조손가족, 다문화가족, 맞벌이 부부, 비혼 독신 등—속에서 생기는 문제를 함께 고민하고, 상담하고, 지원하는 전문가랍니다.
요즘 뉴스나 주변 얘기를 들어보면, 가족 간 갈등이나 고립 문제, 양육 스트레스 등 다양한 문제들이 참 많잖아요. 건강가정사는 바로 그런 문제를 예방하거나 해결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사람이라고 보면 돼요. 가족 구성원 각각의 이야기를 들어주고, 필요한 서비스를 연계하거나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역할도 해요.
가령, 사춘기 자녀와의 갈등으로 힘들어하는 부모에게는 자녀 이해 교육 프로그램을, 홀로 사는 어르신에게는 말벗 프로그램이나 정서 지원 상담을 연계해주기도 해요. 우리 가족이 서로를 좀 더 잘 이해하고, 존중하고, 행복해질 수 있도록 조력하는 사람이 바로 건강가정사예요.
어떤 일을 할까요?
건강가정사는 주로 지역 건강가정지원센터나 다문화가족지원센터, 복지기관 등에서 일해요. 하는 일은 정말 다양해요.
예를 들면,
부모 교육, 부부 소통 프로그램 운영
가족 상담 및 갈등 중재
다문화가족 자녀의 학교 적응 도우미 역할
1인 가구나 독거노인을 위한 정서적 지원 프로그램 기획
다양한 가족 구성원을 위한 가족친화적 문화 조성 활동
이 외에도 지역 사회에서 가족의 복지를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프로젝트를 기획하고 실행해요. 예를 들어 ‘가족의 날 캠페인’을 기획해 지역 주민들을 대상으로 가족 간 소통의 중요성을 알리거나, 아빠 육아 참여를 장려하는 프로그램도 만들 수 있죠.
한국건강가정 진흥원에서 시행하는 가정의 달 기념 가족 이벤트! https://www.kihf.or.kr/web/lay1/bbs/S1T81C97/A/3/view.do?article_seq=1115538 ☑ 기간 : 2025. 4. 18.(금) ~ 4. 28.(월) ☑ 대상 : 대한민국 가족 누구나 ☑ 당첨자발표 : 2025. 4. 30.(수)(* 한가원 홈페이지 등 공지 및 당첨자 개별 연락) ☑ 경품 : 스타벅스 3만원권 및 아메리카노 T 2장(각 50가족) 기프티콘 선물 ☑ 내용 [가족, 함께 만드는 행복!] 과 어울리는 네컷 가족사진을 촬영하여 업로드 해주세요! 추첨을 통해 100가족을 선정하여 경품을 드립니다.
어떻게 하면 건강가정사가 될 수 있을까요?
건강가정사가 되기 위해서는 일정한 과정을 이수해야 해요. 크게 두 가지 경로가 있어요:
관련 학과 졸업: 대학에서 가족학, 사회복지학, 아동학, 상담학, 여성학 등 건강가정사 관련 교과목을 일정 학점 이상 이수하면 자격이 주어져요.
학점은행제 이수: 관련 학과를 졸업하지 않았어도, 학점은행제를 통해 필요한 과목을 이수하면 자격 신청이 가능해요.
과목에는 가족복지론, 가족상담, 가족정책론, 건강가정론,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등 실질적이고 현장감 있는 내용이 많아요.
예를 들어 가족상담 과목에서는 실제 갈등 사례를 분석해보고, 건강가정론에서는 다양한 가족 형태에 대해 배우고 이해하는 시간도 가져요.
관련 과목을 모두 이수한 후에는 여성가족부에 자격 신청을 하면, 심사 후 건강가정사로 등록이 되는 방식이에요. 시험이 따로 있는 건 아니지만, 이수해야 할 과목과 학점 기준이 있기 때문에 미리 잘 확인하고 준비해야 해요. 보통은 12과목 36학점 이상을 이수해야 하고, 졸업증명서와 성적증명서를 함께 제출해야 하니 꼼꼼하게 챙기면 좋아요.
어디에서 일할 수 있나요?
건강가정사의 활동 무대는 생각보다 꽤 넓어요. 대표적으로는:
전국의 건강가정지원센터, 다문화가족지원센터
복지관, 아동복지센터, 청소년상담복지센터
사회복지기관, NGO 단체, 지자체 행정 부서
최근엔 학교나 병원, 법원 등에서도 건강가정사의 역할이 주목받고 있어요
특히 건강가정지원센터는 전국에 200곳 이상 있고, 다문화가족지원센터와 통합 운영되는 경우도 많기 때문에 일자리 수요는 꾸준히 있어요. 또한 건강가정사는 상담사, 교육 기획자, 프로그램 운영자 등 다양한 형태로 일할 수 있어요. 고정된 사무실뿐 아니라, 찾아가는 상담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온라인으로도 가족 상담을 진행하는 등 유연한 근무 형태도 점점 늘어나고 있답니다.
또한, 일정한 경력을 쌓으면 센터의 프로그램 코디네이터나 기관 팀장 등으로 승진도 가능하고, 이후 사회복지사, 가족상담사 등 전문 자격과 연계해 더 넓은 커리어로 발전시킬 수도 있어요.
가족 문제는 때론 누구에게도 말 못 하고 혼자 끙끙 앓게 되는 경우가 많아요. 하지만 그런 문제를 누군가 함께 들어주고, 따뜻하게 조언해줄 수 있다면 얼마나 큰 힘이 될까요?
건강가정사는 바로 그런 사람입니다. 전문가로서의 역할도 있지만, 사람의 마음을 알아주는 따뜻한 손길이기도 하죠. 사회는 점점 복잡해지고 있지만, 그럴수록 더 많은 건강가정사가 필요한 시대가 아닐까 생각해요.
혹시 지금, '나도 사람들에게 힘이 되는 일을 해보고 싶다'는 생각이 드시나요? 그렇다면 건강가정사, 한 번 진지하게 고려해보셔도 좋을 것 같아요.